
반도체 산업은 국가 전략 산업으로 부상하면서 관련 전공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주요 대학들도 반도체 관련 학과 또는 반도체 집중 교육 트랙을 개설해 인재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학부 단계에서부터 반도체 소자, 공정, 설계, 패키징, 테스트, 시스템 응용 등 전반적인 커리큘럼을 갖춘 학교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산학협력, 인턴십, 반도체 전문 연구소와의 연계 등을 통해 실무형 교육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국내 주요 대학들의 반도체 관련 전공 커리큘럼을 비교 분석하여, 반도체 진로를 고려하는 수험생이나 전공자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1. 서울대학교, KAIST, POSTECH 등 주요 이공계 대학
국내 이공계 최상위권 대학인 서울대, KAIST, POSTECH은 반도체 연구 역량과 교육 커리큘럼이 모두 뛰어난 곳으로, 반도체 산업 전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①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서울대는 반도체 소자, 회로설계, 시스템, 양자소자 등 다양한 전공 심화 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학부-대학원 연계 연구실이 잘 구성되어 있습니다. ‘반도체소자’, ‘VLSI 설계’, ‘반도체 제조공정’, ‘집적회로’ 등 이론 중심 과목과 함께 실험 과목도 병행됩니다. SK하이닉스와의 산학 프로그램(SURE 프로그램)과 삼성전자의 반도체 계약학과 트랙도 운영됩니다.
②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KAIST는 반도체 연구 분야에서 국제적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자회로 설계, SoC, EDA 툴, RF 시스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집적회로 설계 등을 집중 교육합니다. 또한 반도체 팹(청정실) 기반의 실습 교육과 더불어 SK하이닉스와의 산학 인턴십, 메모리 설계 실습 등 실무와 연계된 강의가 많습니다.
③ POSTECH 전자전기공학과
POSTECH은 소자 물리, 집적회로 공정, 고속 시스템 설계, 반도체 계측 기술 등 이론과 실험이 균형 있게 구성된 커리큘럼을 운영합니다. 학부생도 참여 가능한 ‘반도체 융합연구센터’, 장비 인프라, 국내외 반도체 기업 인턴십 기회 등이 풍부하며, 학생 창업도 활발합니다.
2. 성균관대, 한양대, 연세대 등 수도권 특성화 대학
반도체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수도권 중심 대학들도 반도체 트랙, 계약학과, 공정 교육 실습 등을 통해 실무 교육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①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삼성전자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운영되는 계약학과로, 등록금 전액 지원 및 졸업 후 삼성전자 입사가 연계됩니다. 커리큘럼은 반도체 소자·공정·설계·시스템 등 전반을 포괄하며, 설계 툴 및 패키징 기술 교육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반도체 시스템 실습’, ‘디지털 회로설계’, ‘CMOS 아날로그 회로’ 등 실습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② 한양대 반도체공학과
2023년부터 신설된 계약학과로, 반도체 소자 및 공정 중심 커리큘럼을 운영합니다. 화학, 재료, 전자 분야가 융합된 교과과정과 더불어 삼성전자 및 반도체 기업들과의 산학 연계 수업이 강화되어 있으며, 청정실(Fab) 실습과 공정 장비 교육이 병행됩니다.
③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연세대는 반도체 집적회로 및 회로설계 중심의 강의가 많으며, ‘VLSI 설계’, ‘SoC 설계’, ‘ASIC 설계’ 과목을 통해 설계 엔지니어 양성에 초점을 맞춥니다. 또한 반도체 설계 툴 사용 수업과 칩 제작 프로젝트가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3. 지방 거점국립대 및 특성화대학
비수도권 대학도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해 특화된 트랙을 운영하거나 계약학과를 신설하고 있습니다.
① 부산대 반도체전공 트랙 (전자공학과 내)
부산대는 반도체 집적회로 설계, 공정 이론, 계측 및 분석 기술 교육 중심의 반도체 집중 트랙을 운영하며, 삼성전자, DB하이텍 등과의 산학 협력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학부-대학원 연계 교육과 캡스톤디자인이 결합된 실무 중심 커리큘럼이 강점입니다.
② UNIST 반도체소자공학과
2024년 신설된 반도체소자공학과는 반도체 소자와 공정 중심 커리큘럼을 제공하며, 산학 연계 연구실 실습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소재·소자 융합에 강점이 있으며, 국제 공동 연구와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도 적극 지원합니다.
③ DGIST/광주과기원(GIST)/KAIST 세종캠퍼스
이공계 특성화대학들은 집적회로 및 신소재 중심의 반도체 커리큘럼을 운영하며, 대학원 중심 연구과정과 함께 일부 학부 과정에서도 반도체 집중 트랙을 운영 중입니다. 기업 연계 프로젝트와 국제 저널 참여 경험 등 연구 중심 커리큘럼이 특징입니다.
결론적으로 반도체 전공 교육은 전통적인 전기전자공학, 재료공학을 넘어 회로설계, 시스템통합, AI 반도체 등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국내 대학들은 이에 발맞춰 실무 중심 커리큘럼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서울대·KAIST·POSTECH은 이론과 연구 중심, 성균관대·한양대·연세대는 설계 및 실무 중심, 지역 국립대와 특성화대학은 공정 및 산학협력 중심의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반도체 산업으로 진출을 희망하는 학생은 자신이 희망하는 직무(설계, 소자, 공정, 시스템 등)에 따라 대학별 커리큘럼과 인프라를 비교하고, 장기적인 진로 계획에 맞춰 진학 및 학습 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