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효식품 속 미생물의 역할
발효식품은 인류가 오랜 세월 동안 개발해 온 자연적인 저장·가공 기술의 결정체로, 미생물의 생화학적 작용을 통해 새로운 풍미와 영양을 창출한다. 김치, 된장, 치즈, 요구르트, 사워도우 빵 등은 각기 다른 미생물 군집이 발효 과정에 관여하여 맛, 향, 질감, 영양가, 그리고 인체에 유익한 생리활성 물질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발효 미생물은 단순히 식품의 보존성을 높일 뿐 아니라, 항산화 물질과 유익한 효소를 생성하며 장내 미생물 균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발효의 과학: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변화발효란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대사 과정이다.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당, 단백질, 지방을 분해해 젖산, 에탄올, 초산 등의 대사산물을 생산하며, 이 과정이 식품의 맛과 보존성을 동시에 향상시킨..
2025. 10. 24.
유산균 종류와 건강 효과
유산균은 인체 장내에서 정착하거나 일시적으로 머무르며 유익한 변화를 유도하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정의된다. 가장 널리 연구된 속은 락토바실러스와 비피도박테리움이며, 최근에는 락토코쿠스, 엔테로코쿠스, 스트렙토코쿠스, 프리비오텔라, 아커만시아 같은 균주까지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유산균의 작동 원리는 장 점막에 부착해 병원성 미생물과의 경쟁을 유도하고, 젖산과 초산 같은 유기산을 생성해 pH를 낮추며, 짧은사슬지방산을 통해 면역세포의 반응성을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점액층을 두껍게 하고 타이트정션 단백질 발현을 촉진해 장 투과성을 낮추며, 담즙염 가수분해 효소와 다양한 대사산물을 통해 지질 대사에도 영향을 준다. 이러한 기전은 변비와 설사 개선, 복부팽만 감소, 과민성대장증후군 증상 완화, 알레르기 위험 저..
2025. 10. 24.